본문 바로가기

Com/Network(CCNA)

[네트워크 / Network / CCNA] OSI 7 Layer & TCP/IP Model Layer (1)

OSI 7 Layer 와 TCP/IP Model Layer 를 비교하며 살펴보겠습니다.

 

 

 OSI 7 Layer

 TCP/IP Model Layer

 7계층 

 Appication(응용)

Application(응용) 

 6계층

 Presentation(표현)

 5계층

 Sesstion(세션)

 4계층

 Transport(전송)

 (Host to Host) Transport(전송)

 3계층

 Network(네트워크)

 Internet

 2계층

 Data Link(데이터 링크)

 Network Interface

 1계층

 Physical(물리)

 Hardware

위 표에서 보다시피 OSI 7 Layer 와 TCP/IP Model Layer 가 서로 다른 것을 볼 수 있습니다. 먼저 다른 이유를 살펴보기전에 네트워크를 하는데 왜 이렇게 계층이 나누어져 있는지를 알아야겠죠?

▶ 계층이 나누어져있는 이유

 

1. Data flow, 즉 네트워크를 하는데 데이터가 어떤 방식, 어느 경로로 전송이되서 도착하는지 쉽게 확인 할 수있습니다. 

2. Trouble Shooting(문제 발견 및 해결) 이 가능합니다. 네트워크가 연결이 잘 되지 않을 때 단계별로 확인하면서 쉽게 문제를 발견할 수 있습니다.

3. 네트워크의 Standard(표준화). 앞선 포스팅에서 네트워크를 하기 위해서 약속된 공용어인 "프로토콜"이 필요하다고 했는데 우리가 현재 가장 많이 사용하는 프로토콜은 TCP/IP 입니다. TCP/IP 도 계층을 나누어 작동한다면 약속이 더욱 쉬워지겠죠?

이제 계층이 왜 나누어져있는지 감이 오셨나요?

그렇다면 다음은 왜 OSI 7 Layer 와 TCP/IP Model Layer 가 나누어져있을까요?

그 이유는 OSI 7 Layer 는 이상적인 네트워크 계층 구조인데 현실에서 7계층 모두 구현하기 힘들어서 현재 TCP/IP 같이 5, 6, 7 계층을 하나로 묶어 Application 계층으로 구현을 했습니다.

 


이제 OSI 7 Layer의 각 계층별로 무슨 역할을 하는지 살펴보겠습니다.

 

7계층 

 Application(응용) 계층

 사용자를 위한 계층

 사용자에게 인터페이스 제공

 네트워크 서비스를 제공(HTTP, telnet, FTP 등)

 6계층

 Presentation(표현) 계층

 컴퓨터가 인식할 수 있게 데이터 형태를 변환해 준다.(확장자를 붙여준다)

 암호화, 압축화

 5계층

 Session(세션) 계층

 응용 프로그램 또는 네트워크 간 연결을 담당 (ex. 익스플로러에서 메모장으로 글을 복사할 때)

 => 통신이 가능한지 정보를 주고 받는 것

 4계층

 Transport(전송) 계층

 데이터 전송 방식을 결정

 -> TCP(신뢰성이 높지만 전송속도가 느림) & UDP(신뢰성이 낮지만 전송속도가 빠름)

 포트번호로 전송 방식을 구분

 -> HTTP = 80, ftp = 20, 21, telnet = 23 (HTTP, ftp, telnet 모두 TCP 방식)

 -> 포트번호는 0 ~ 65535 까지 있는데 0 ~ 1023 까지는 wellknown 포트로 전세계가 약속해서 사용

 3계층

 Network(네트워크) 계층

 논리적 주소(IP, IPX, Appletalk)를 기반으로 데이터 전송 경로를 결정

 2계층

 Data Link(데이터 링크) 계층

 물리적 주소(MAC 주소)를 기반으로 데이터 전송 형태를 결정

 -> 1계층과 매우 밀접한 관계, 1계층 물리 장비에 따라 형태를 결정

 방식에는 MA(Multiple Access) 방식과 PTP(Point to Point, Pear to Pear) 방식이 있다.

 MA 방식에는 BMA 방식과 NBMA 방식이 있다.

 -> BMA(Broadcast Multiple Access) - 모든 전송을 받지만 자기꺼에만 응답(ex. Ethernet)

      선생님이 출석부를 부르면 해당 학생만 대답하는것과 비슷한 원리

 -> NBMA(Non- BMA) - Broadcast 할 수 있는 상황이지만 하지 않는 것 (ex. Frame relay, ATM)

 MA 방식은 Broadcast 즉 1 대 다 통신 상황을 이야기한다.

 -> PTP - HDLC, PPP 중 같은 방식을 사용한 인접 장비와 통신이 가능하다.

 나중에 인접 장비 라우팅 설정을 할 때 Encapsulation을 해주는데 그 때 사용한다.

 PTP 방식은 Unicast 즉 1 대 1 통신 상황을 이야기 한다.

 1계층

 Physical(물리) 계층

 0, 1 로 상위 계층에서 받은 데이터를 구분

 -> 비트화(Framing)

 비트화 된 데이터를 전기적 신호로 변경(Encoding)

 전기적 신호를 비트화(Decoding)

 Encoding + Decoding = Codec

5, 6, 7 계층은 상위 계층(User를 위한 계층) 이고 데이터를 생성하는 목적으로 존재하는 계층입니다. 따라서 개발자들이 신경써야할 계층이라고 할 수 있습니다.

1, 2, 3, 4 계층은 하위 계층(Computer를 위한 계층) 이고 데이터 흐름 및 전송을 담당합니다. 따라서 네트워크 관리자들이 신경써야할 계층 입니다.

다음번에는 TCP/IP Model Layer 를 조금 더 세세하게 살펴보도록 하겠습니다.